〉초중고생병 〉미용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아름다움

피부와 건강

미용을 위한 경락, 경혈 이용법

체질과 피부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아름다움


여성이나 남성은 아름답고 젊고 탄력적이며 생동감 넘치는 살결을 간직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신적이나 육체적으로 건강해야 합니다.
오장육부가 건강하지 않고서는 피부가 아름다워질 수 없으며, 또한 뇌신경 기능과 정신적인 건강이 유지되지 않고서는 용모와 오장육부의 정상적인 경영이 되질 않습니다.
얼굴과 피부는 내부 장기와 마음의 외적의 발현 부위이며 거울이라 볼 수 있습니다. 내부 장기의 조화나 마음의 평화가 없으면 육체적, 정신적 질환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 질환, 주름이나 노화된 피부를 야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건강 경영은 부도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건강 경영을 위해서는 養生法이나 調養法을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 첫째라고 할 수 있습니다.

韓醫에서의 養生法
(1) 法于陰陽; 음양의 이치에 따른다.
(2) 食飮有節; 마시고 먹는 데 適切한 節制가 있어야 한다.
(3) 起居有常; 日常生活에 一定함(規則性)이 있어야 한다.
(4) 不妄作勞; 일에 있어서 함부로 過勞를 해서는 안된다.
(5) 以恬(념)愉爲務; 사리사욕이 없는 편안과 유쾌함에 힘쓴다.
(6) 治未病; 병들기 전에 다스린다.

健康什訓(少多訓); 경우에 따른 適用이 要求됨
(1) 少肉多菜
(2) 少衣多浴
(3) 少車多步
(4) 少欲多施
(5) 少酒多果
(6) 少煩多眠
(7) 少言多行
(8) 少鹽多酢
(9) 少食多嚙(교, 요)
(10)少憤多笑

修崑崙法(崑崙은 頭를 指稱)
(1) 頭宜多櫛(즐)
(2) 手宜多面
(3) 齒宜數叩
(4) 津宜常嚥
(5) 氣宜精鍊

腹部 및 頭部 管理)
(1) 腹無熱痛
(2) 頭無冷痛

기타 調養法
(1) 流水는 腐濁하지 아니하며, 久樞(문 지도리)가 蟲蝕되지 아니하는 것은 항상 運動하기 때문
(2) 久行, 久立, 久坐, 久視, 久聽 등은 모두 壽命에 損害가 됨
(3) 名譽와 財産에 너무 執着하면 아니됨

 

 

     ⊙피부와 건강


최상의 조건의 피부 연령
일반적으로 피부의 세포는 수명이 28∼30일을 1주기로 합니다. 또한 해부학적으로는 24∼25세를 전후하여 눈가, 이마 및 입가 등에 잔주름, 기미가 발생하고, 피부 빛이 변하며, 탄력과 윤기가 떨어지면서 살결이 거칠어지는 등의 노화현상을 피부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의 최고의 근육, 골격, 피부의 상태로 보아 최상의 피부 조건은 여자의 경우 28세이고, 남자의 경우는 32세입니다. 이 나이 전에 섭생을 잘하면 이들 나이 이후의 피부는 비교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미용에 관계되는 생리, 병리적 현상을 다스려야 됩니다.

(1) 호흡기가 건강해야 피부가 건강합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기능은 다양합니다. 피부막은 약산성을 나타내며,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각종의 세균, 바이러스 등을 막는 작용과 면역작용이 있으며 감각을 지각하는 감수기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체온 조절, 발한 작용, 호흡을 조절, 각종의 분비물을 배설하는 작용, 기육이나 근육과 더불어 인체의 운동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눈, 입술, 얼굴 등의 운동을 통하여 희, 노, 애락의 감정과 정서를 외부로 표출하는 기능, 기혈(氣血)이 유주(流注)하는 경락(經絡)이 있어 오장육부 (五臟六腑) 등 내부장기의 이상반응(異常反應)을 반영하거나 그 반영된 부위 곧 경혈(經穴)을 통하여 병의 증상을 진찰하기도 하고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이상의 피부의 기능 중에서도 ‘폐주피모(肺主皮毛)’의 원리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다시 말하면 위에서 언급한 피부의 기능중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적인 기운을 막는 작용, 호흡 조절 작용 등은 폐와 피부가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피부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오장육부중 호흡기가 건강해야 하고, 호흡기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임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 피부가 거칠고 맑지 못함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大腸의 機能을 正常的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폐와 대장은 형제 관계입니다. 폐가 호흡을 통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을 하는 것과 대장이 수분 흡수나 가스나 대변 배출을 하는 기능은 상호 형제와 같이 밀접한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인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에서 폐와 피부가 상호 긴밀하듯 대장과 피부의 관계는 가까운 것입니다. 임상적으로는 변비가 심한 사람은 피부가 거칠고 기미나 여드름이 발생함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피부 관리만으로 깨끗함을 달성할 수 없으며 변비를 치료하여 대장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해야 만이 피부의 상태가 탄력적이고 깨끗해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3) 소화기가 정상적일 경우 기육이 윤기 나고 탄력적입니다.
피부에 균형된 영양 상태가 유지되질 못하면 피부의 상태가 정상적일 수 없습니다.
신체의 영양은 과(過)하거나 부족(不足)하면 다 문제가 됩니다. 바로 균형된 영양은 맑고 고운 피부를 유지하는 중요한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이는 ‘비주기육(脾主肌肉)’이라는 원리 속에 포괄됩니다.
곧 비(脾)는 비위(脾胃)를 지칭하는 것으로 소화기를 말합니다. 소화기는 기육(肌肉)이나 근육을 주관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소화기가 정상적으로 영양을 잘 흡수하여 기육과 피부에 공급을 원활히 해준다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임상적으로 평소에 잘 체하거나 식욕이 좋지 못하면서 위장염이나 궤양 등의 병증이 있는 사람은 피부의 색이 위황색(萎黃色)을 나타내며 윤기가 없습니다.
이런 피부의 관리는 소화기 치료가 선행되어야 피부가 정상적이 될 수 있습니다.
)
(4) 수면의 리듬과 양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수면의 시간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태양이 지고 뜨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가장 좋습니다.
봄과 여름에는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며, 가을에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며, 겨울에는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나야 좋습니다. 또한 춘분에서 하지 추분에 이르기까지 낮이 밤보다 길 경우, 수면은 6∼8시간 정도, 추분에서 동지, 다음 춘분까지 밤이 길 때, 8∼10시간 정도가 좋습니다.
밤은 오장육부도 휴식을 해야 되고, 피부도 휴식을 해야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현대의 생활이 밤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을 많이 영위하게 되는데 이 경우가 지나치면 피부는 나빠집니다.
이 경우는 최소한 밤 11시∼새벽 1시에는 잠에 들어야 합니다. 정(靜)해야 하는 시간에는 정해야 함은 섭생의 기본입니다.
임상적으로 밤에 근무하는 야간 경비를 담당하거나 새벽이나 밤 전시간 동안 시장에서 상업하거나 야간 업소 근무하는 경우 등에 적응을 잘하고 사람이라도 검사 상에는 확실한 병증을 진단할 수 있는 근거는 없지만 전신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 피부 나쁨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병명은 없지만 반건강 상태라 할 수 있으므로 후에 여러 가지 질병으로 전변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예이므로 피부의 문제에 국한될 수는 없습니다.

(5)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의약품 및 기호 식품에 주의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의약품은 질병에 유효한 성분이 있지만 부작용으로 간장과 신장 등에 영향을 주면서 기관에 피해를 주면서 피부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과도한 술, 담배, 커피, 화공식품, 가공 음료수 등도 피부 미용에 해가 되는 요소임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임상에서 음주를 과다하여 간이 손상되고 장이 예민한 예나 담배를 장기간, 많은 양을 피워 호흡기나 기타 기관들의 손상을 야기한 예나 다량의 커피에 의하여 교감신경을 계속 흥분하였거나 위장관 염증이나 궤양에 해가 되는 요소가 된 예나 인스턴터 식품 등을 장기간 섭취한 청소년들의 경우에 피부가 좋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6) 월경부조, 임신, 성인병 등은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들의 경우는 치료나 조절만으로도 피부 상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기타 調養法
(1) 流水는 腐濁하지 아니하며, 久樞(문 지도리)가 蟲蝕되지 아니하는 것은 항상 運動하기 때문
(2) 久行, 久立, 久坐, 久視, 久聽 등은 모두 壽命에 損害가 됨
(3) 名譽와 財産에 너무 執着하면 아니됨

 

 

     ⊙미용을 위한 경락,경혈 이용법


1) 두부(頭部)의 미용 경혈
양백(陽白): 이마 주름, 눈 피로
태양(太陽): 뇌기능 도와 줌, 눈을 맑게 해줌, 피로
두유(頭維): 눈 피로, 두통, 발모
신정(神庭): 두통, 불면
인당(印堂): 앞이마 주름, 이마부위 통증
정명(睛明): 안 피로, 시력 증강
찬죽(攢竹): 주름, 명목(明目)
사죽공(絲竹空): 주름, 살결 윤택
승읍(承泣): 하안검주위 주름, 명목
영향(迎香), 하관(下關), 협거(頰車): 기미, 살결 윤택
수구(水溝:인중): 머리를 맑게 함, 요척추부 통증

2) 사지부(四肢部)의 미용 경혈
합곡(合谷): 안면 피부 미용의 要穴(기미, 여드름, 주근깨 등), 변비, 내분비조정
곡지(曲池): 안면 미용에 다용(多用)穴
열결(列缺): 피부활성화, 두통
혈해(血海): 피부에 색소침착(色素沈着)시 다용(기미 등), 피부염, 알레르기, 내분비조절
족삼리(足三里): 노화방지, 피부건강, 위장기능장애로 인한 피부 이상에 다용
부류(復溜): 비만, 지루성피부질환, 한출(汗出)조절
삼음교(三陰交): 노화방지, 내분비조정
용천(湧泉): 뇌순환개선, 노화방지, 피부 색소침착

3) 구간부(軀幹部)의 미용 경혈
중완(中脘): 소화기능강화
기해(氣海): 내분비조정, 氣不足 질환에 다용
관원(關元): 강장(强壯), 내장기능 조정
비수(脾兪): 비만
중극(中極): 생식기계 부조화로 야기된 피부 질환
신수(腎兪): 노화방지, 내분비조정

4) 이부(耳部)의 미용 경혈
심점(心點), 신문(神門): 정신 불안정 및 심장성질환에 의한 피부 질환(안면 색이 紅赤, 심신불안)
간점(肝點), 담점(膽點): 색소침착(기미, 주근깨 등), 거친 살결, 잔주름, 여드름, 신경성피부염
폐점(肺點), 담마진구(蕁麻疹區), 과민점(過敏點): 여드름, 기미, 주근깨, 땀띠(비자:痱子), 알레르기, 피부 소양, 주름살, 노화방지
비점(脾點), 위점(胃點), 기점(飢點): 비만
신점(腎點), 방광점(膀胱點), 신염점(腎炎點), 자궁난소점: 생식계, 부인과 질환에 의한 피부질환, 노화방지
면협구(面頰區), 액점(額點), 침점(枕點): 안면부에 상응하는 이혈
내분비점(內分泌點): 내분비조정, 피부 질환의 치유력을 提高
신상선점(腎上腺點): 과민성피부 등에 미용작용
피질하점(皮質下點): 대뇌피질기능 조절, 익뇌안신(益腦安神), 금연, 알코올, 약물 중독
뇌점(腦點): 대뇌피질 기능 조절
교감점(交感點): 자율신경(自律神經)조절

 

 

     ⊙체질과 피부


1) 태음인
① 얼굴이 원형 또는 타원형, 눈,코,입,귀가 크고 입술은 대체로 두툼, 체격이 큰 편, 근육과 골격은 발달, 비대하며 손발이 크다, 허리가 굵은 편, 상체보다는 하체가 더 충실, 의젓하고 무게가 있어 보임, 여자에게는 미인이 적음, 인자하고 마음이 너그럽고 집념과 끈기가 있음, 고집이 세고 음흉하여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음, 욕심과 교만함이 있음, 여자에게는 애교성이 적다, 게으를 경우에는 한없이 게으르다, 호걸형, 낙천가, 사업가, 정치가 기질

② 간의 기능이 좋고, 심⋅폐장, 대장, 피부 기능이 약함, 땀을 많이 흘림(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좋다), 후각이 발달, 여자는 겨울에 손발이 잘 틈, 급성폐염, 기관지염, 천식, 심장병, 고혈압, 중풍, 습진, 종기, 두드러기, 알레르기, 대장염, 치질, 변비, 신경증, 감기 등에 걸리기 쉽다,

③ 식성이 좋아 대식가가 많음, 폭음 폭식의 경향이 있음 유익한 음식은 현미, 찹쌀, 보리, 수수, 흰콩, 율무, 감자, 고구마, 무, 당근, 도라지, 연근, 마, 더덕, 시금치, 마늘, 우엉, 김, 미역, 다시마, 기타 해조류, 쇠고기, 개고기, 닭고기, 우유, 계란, 생선, 사과, 귤, 수박, 밤, 호도, 잣, 은행, 인삼, 갈근 등입니다. 해로운 음식은 메밀, 밀가루, 검은콩, 색이 있는 콩, 옥수수, 검은 깨, 설탕, 배추, 케일, 조개류, 게, 새우, 귤, 오징어, 낙지, 갈치, 포도, 곶감, 참외, 바나나, 결명자 등입니다.

2) 소양인
① 머리가 앞뒤로 나오거나 둥근 편, 표정이 밝다, 턱이 뾰족한 편, 입은 과히 크지 않음, 입술은 얇음, 눈매가 날카롭다, 상체에 비해 하체가 약하며 특히 다리가 가늘다, 살이 찐 사람이 드물다, 가슴 주위가 발달, 경쾌하면서 가벼워보이는 인상, 걸을 때 항상 먼 곳을 보고 보행, 외향적, 명랑, 재치가 있음, 판단이 빠름, 다정다감, 봉사와 희생 정신이 있음, 이해관계에 따라 마음이 변치 않음, 강직하고 의분을 참지 못함, 성질이 급하고 경솔하며 실수가 많고 화를 잘냄, 계획성이 적다, 비판적, 체념이 빠르다, 대인관계는 원만하나 가정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음, 상인, 군인, 봉사자, 중개인, 서비스업 종사자 기질

② 비위의 기능이 좋고 신장의 기능이 약함, 몸에 열이 많음, 소화력이 왕성, 땀이 별로 없음, 시각이 발달, 남자는 정력 부족, 여자는 다산하지 못함, 신장염, 방광염, 조루, 불임, 상시요통, 협심증, 주하증 등이 잘 걸림

③ 더운 음식보다는 찬 음식을 좋아하며, 한겨울에도 찬 음식을 즐김, 음식을 빨리 먹는 경향 유익한 음식은 보리, 검은콩, 색이 있는 콩, 메밀, 검은깨, 배추, 푸른 야채, 상추, 시금치, 열무잎, 미나리, 케일, 오이, 돼지고기, 쇠고기, 계란, 어패류, 배, 감, 포도, 수박, 참외, 딸기, 바나나, 영지, 결명자 등입니다. 해로운 음식은 찹쌀, 차조, 수수, 밀가루, 흰콩, 율무, 감자, 고구마, 참깨, 설탕, 파, 양파, 당근, 도라지, 마, 생강, 카레, 후추, 미역, 김, 다시마, 닭고기, 개고기, 양고기, 조기, 사과, 귤, 오렌지, 밤, 인삼, 꿀, 화분 등입니다.

3) 소음인
① 용모가 오밀조밀 잘 어우러져 있음, 눈⋅코⋅입이 그다지 크지 않고 입술은 얇음, 눈에 정기가 없음, 상체에 비하여 하체가 발달, 살과 근육이 비교적 적으나 골격은 굵은 편, 키와 몸집은 대체로 작은 편이지만 몸매의 균형이 잡힌 사람이 많음, 얌전하고 온화한 인상, 미남미녀가 많음, 사색적, 매사에 치밀, 착실함, 판단력 빠름, 머리 총명, 예의 바름, 세심, 내성적, 자기본위적임, 질투가 심하고, 계산적, 화가 나면 쉽게 마음을 풀지 않음, 늘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작은 일에도 속상해 함, 여자의 경우 꼼꼼하게 살림을 잘함, 지사형, 교육자, 종교자, 학자, 사무원 기질

② 신장의 기능이 좋고 비위의 기능이 약함, 허약체질, 냉성체질, 땀이 별로 없으며,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 것이 좋다, 미각이 발달, 피부가 부드러움, 무의식중에 한숨을 잘 쉼, 위염, 위하수, 위산과다, 상습복통 등의 급만성위장병, 우울증, 신경성질환, 수족냉증, 차멀미, 주하병, 설사, 외한(畏寒)증 등이 잘 걸림

③ 더운 음식을 좋아하며 맛있는 것을 골라 먹는 경향이 있음, 음식은 대체로 늦게 먹는 편임 유익한 음식은 찹쌀, 차조, 흰콩, 옥수수, 감자, 고구마, 상추, 시금치, 파, 생강, 마늘, 고추, 후추, 카레, 참기름, 무, 연근, 미역, 김, 다시마, 파래, 닭고기, 개고기, 쇠고기, 양고기, 생선, 사과, 귤, 토마토, 복숭아, 인삼, 녹용, 꿀 등입니다. 해로운 음식은 보리, 밀가루, 메밀, 수수, 팥, 검은콩, 색이 있는 콩, 녹두, 율무, 땅콩, 검은깨, 배추, 케일, 미나리, 도라지, 당근, 오이, 참외, 수박, 돼지고기, 조개, 새우, 게, 굴, 오징어, 낙지, 갈치, 감, 포도, 밤, 호도, 잣, 은행, 배, 바나나, 맥주, 찬 음식, 얼음 등입니다.

4) 태음인
① 머리가 크며 둥근 편, 목덜미와 뒷머리가 발달됨, 눈이 작다, 체구가 단정한 편, 상체에 비하여 하체와 허리가 약한 편, 대체로 몸은 마른 편, 깔끔한 인상에 눈에 광채가 있음, 머리가 명성, 과단성, 진취성, 영웅심, 자존심 등이 강함, 독창적, 의욕과잉으로 주위와 화합이 잘 안되며 독선적임, 남을 비난하길 좋아하며 분노를 잘 일으킴, 천재형, 발명가, 전략가, 혁명가, 음악가 기질, 위인이 아니면 무능력자가 되기 쉽다.

② 폐의 기능이 좋고, 간의 기능이 약함, 오래 앉아 있거나 오래 걷기를 못함, 소변이 많음, 청각 발달, 여자 중에는 건강해도 불임이 많음, 간장질환, 식도경련, 식도협착, 불임증, 안질, 각약(脚弱), 상기(上氣) 등이 잘 나타남.

③ 냉한 음식 및 특히 담백한 음식을 좋아함 유익한 음식은 보리 파(회색), 검은 콩, 색이 있는 콩, 검은 깨, 메밀, 배추, 야채, 연근, 우엉, 파, 양파, 고추 생강, 마늘, 호박, 가지, 오이, 토마토, 케일, 김, 미역, 다시마, 해조류, 어패류, 새우, 조개, 게, 굴, 오징어, 청어, 고등어, 배, 감, 귤, 포도, 오렌지, 복숭아, 바나나, 파인애플, 살구, 구연산, 녹차 등입니다. 해로운 음식은 찹쌀, 수수, 차조, 밀가루, 흰콩, 율무, 땅콩, 설탕, 참깨, 무, 당근, 도라지, 더덕, 마, 열무잎, 미나리, 육류, 우유, 요구르트, 계란, 담수어, 기름진 음식, 사과, 밤, 대추, 호두, 잣, 은행, 살구씨, 참외, 수발, 꿀, 로얄제리, 인삼, 영지, 홍차, 커피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