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신경마비는 구안와사(口眼喎斜), 와사풍, 면탄(面癱)등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뇌신경병변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이는 환절기 또는 기온차가 심한 시기에 다발하지만 계절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족들은 ‘나이어린 애나 소아에게도 이런 병이 발생하느냐’는 질문을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발생조건만 갖추어지면 이 질환은 야기됩니다. 과거에는 다딤잇돌을 베고 잔 후 발생하는 병이라고 헀습니다. 이는 안면에 차가운 기운이나 강한 바람의 자극이 국소신경의 영양혈관을 경련케 하고 안면신경이 허혈과 부종을 일으켜 마비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이염, 유양돌기내부의 염증,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외상 등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본병은 안면신경이 담당하는 부위와 기능의 부조화와 같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발병전에는 마비가 오는 쪽의 귀뒷부분의 불쾌감이 발생합니다. 환측의 귀밑이나 귀 바로 뒤의 융기된 돌기부위에 통증이 있고, 마비된 신경과 같은 쪽의 안면이 이완성으로 마비되면서 건강한 안면으로 당겨 올라가는 증상이 주가 되며, 눈을 감을 수 없고, 이마에 주름을 만들지 못하며, 침을 흘리고, 눈물이 고이거나 혀가 맛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 병은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안면부을 중심으로 침이나 전침을 시술하는 침구치료, 원인을 제거하거나 저하된 체력이나 부족한 기혈을 돕는 약물치료, 마비된 부위의 경혈이나 신경 근육을 자극하는 물리치료 등을 시행하여 양호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혹 치료를 하여도 잘 회복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는 극소수입니다. 특히 고혈당증, 고혈압, 안명신경의 깊은 부분에 병병이 발생한 경우 등은 회복기간이 늦거나 예후가 좋지 않으니 전문가들을 찾아서 장기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중 가정에서는 안면부에 온열찜질, 안면운동, 안면맛사지, 구강청결, 충분한 휴식 등을 통하여 회복을 도와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